the 독자: <머니레터>의 경제뉴스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하나 더 발견했어요.
어피티: 너무 반가운 소식이네요. 🥰 그게 무엇일까요?
the 독자: 경제뉴스와 뉴욕증시 등 주요 해외 장세를 함께 보면 국내 증시 전망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평소 <머니레터>를 꾸준히 읽고 투자생활에 야무지게 활용하고 계신 the 독자님의 모습, 정말 멋져요. 오늘은 처음 증권사에 가입해 주식을 구매하는 과정과 증권사 트레이딩 앱의 주문 기능들을 알아볼게요.
증권사 계좌가 없으면
주식 거래는 불가능해요
국장 사용설명서 1편에서 알아보았던 증권거래소는 오로지 회원사(증권사)를 통해서만 주문을 체결해줘요. 그래서 주식이나 채권 같은 증권 투자를 하고 싶다면 반드시 증권사에 계좌를 개설해야 한답니다.
증권사가 취급하는 주식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로 동일하지만, 거래시스템의 UI/UX는 조금씩 달라요. 해외 거래 접근성이나, 파생상품 인프라 등에 증권사별 특색이 있고, 증권사에 계좌를 개설하면 서비스로 제공하는 리서치와 리포트도 각각 특징이 있답니다.
아직 계좌 개설을 하지 않았거나 이제 막 주식거래를 시작한 초보 투자자에게는 토스증권이나 카카오페이증권, NH투자증권(나무증권)처럼 비교적 후발주자인 증권사가 유리할 수 있어요. 일단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치며 일정 기간 수수료 무료 등의 이벤트를 하기 때문이에요. 거래앱을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 보다 유저 친화적인 UI/UX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요. 증권거래처럼 표준적이고, 안정성이 중요한 서비스는 기존 충성 고객이 많으면 함부로 UI/UX를 바꾸기 어렵거든요.
적극적으로 주식거래 중이거나 앞으로 활발한 거래를 해볼 생각이라면 파생상품과 해외주식 접근성을 고려해 키움증권과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같은 증권사를 추천하는 경우가 많아요. 해외주식 등 글로벌 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해외주식 거래 국가와 종목 수가 많은 증권사를 찾아야 하는데, 한국투자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그 점에서는 비교우위가 있다는 평이에요. 후발주자인 NH투자증권도 해외투자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요.
내 투자자금이 큰 편이라면 오프라인 서비스와 설계, 컨설팅도 중요해져요. 그럴 때는 PB센터가 많은 곳이 좋겠죠. 오프라인 네트워크는 아무래도 오래된 증권사들이 더 좋을 수밖에 없어요. 오프라인이 강한 증권사는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도 촘촘한 편이에요. 그에 따라 리서치 역량도 중요하고요. 삼성증권과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등이 여기 속해요. 은행과 함께 있는 증권사들이 이 부분에서 두각을 드러내죠. 한화증권처럼 보험사와 함께 있는 증권사는 리츠, 채권 등 자산운용과 관련된 분산투자에 유리한 옵션을 제공하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