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의 판단은 ‘그런 듯?’이에요
우리나라 미국 증시 투자자들이 미국에 상장된 국내 증시 ETF를, 그것도 일간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을 7일간 2232억 원어치나 사들였어요. 투자할 때 사용하는 ‘레버리지’라는 용어는 적은 자본으로 더 큰 수익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고수익 고위험 전략을 뜻해요. 수익률을 키우기 위해 위험성도 함께 키우는 거죠. 위에 언급한 ‘3배 레버리지 국내 증시 ETF’를 예로 들면, 코스피가 하루에 1% 상승하면 해당 ETF는 3% 수익을 내고, 1% 떨어지면 3% 손실을 봐요.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가 오를 때 큰돈을 버는 레버리지 상품’을 매수한 것은 ‘현재 국내 증시가 바닥을 찍었다’는 판단이라고 볼 수 있어요.
금융당국도 ‘이건 과한데?’라고 생각해요
올해 우리나라 증시는 전 세계 증시와 매우 대조적인 실적 부진을 보여주고 있죠. 지난 10월 기준 글로벌 증시가 평균 16.5% 오를 때 코스피는 2%, 코스닥은 10% 하락하기도 했어요. 11월 들어서는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 주가가 4만 원대까지 급락하며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졌어요. 삼성전자는 19일 10조 원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다시 57,000원대를 회복했지만, 국내 증시의 전반적인 침체 분위기는 변하지 않았어요. 18일에는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가 기업들의 실제 성적에 비해 증시 낙폭이 과도하다고 지적하며 상황 점검 회의를 열었을 정도예요. 실제 투자자들과 금융당국이 모두 ‘반등의 여지가 있다’는 판단을 한 셈이기는 합니다. 물론, 세상에 100%는 없는 법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