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정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에요
금융당국이 국내 증시(기업) 저평가 해소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준비하고 있어요. 일본이 지난해부터 실시, 효과를 본 증시부양책인 ‘기업경영 변혁 촉진책’을 벤치마킹했어요. 핵심은 미흡한 주주환원과 취약한 지배구조 개선으로, 내재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국내 증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에요.
‘저평가’지만 ‘저’평가가 아니기도 해요
‘증시가 저평가됐다’는 이야기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금융시장에서 제값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 뜻이에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바로 국내 증시(기업) 저평가 현상을 뜻하는 용어예요. 그러나 기업이 실적 이외에 금융시장에서 갖춰야 할 경쟁력이 부족해 주가가 낮다면, 그건 정당한 평가라는 의견도 있어요. 이대로라면 우리나라 주식에 중장기 평가를 할 근거가 부족해요.
체질 개선이 필요해요
최근 은행주 등 PBR이 1보다 낮은 기업의 주가가 갑자기 오르는 경우가 있었어요.
- PBR < 1: 회사가 지금 당장 보유 자산을 모두 매각해 나오는 총 금액보다도 시가총액이 낮아, 금융시장에서 저평가 됐다는 뜻
금융당국은 PBR이 1 미만인 기업부터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하면 코스피가 박스권(일정한 구간을 오르내리는 상태)을 탈출하고 활성화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어요.
- 주주환원정책: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처럼 주주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정책
- 주주가치: 주주가 해당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
증권가에서는 일본에서 저PBR 기업들이 빠르게 주주환원정책을 실시할 수 있었던 배경이 우리나라와는 다르다고 보기도 해요. 일본 기업들은 우리나라 기업들보다 현금이 풍부하다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