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정인
쉬고 있는 청년이 많아졌어요
지난달 경제 활동을 물었을 때, ‘쉬었음’이라 답한 청년층(15~29세)이 50만 명에 달했습니다.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예요. 쉬었다는 건 취직을 하지도, 구직활동을 하지도 않았다는 뜻입니다. 쉰 사람들은 경제활동 의지가 없거나 불가능한 사람인 비경제활동인구 🏷️ 로 분류되어 실업률 집계에서 빠지게 돼요.
‘쉬었음’의 이유는 이렇습니다
사람들이 취직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쉰 이유로는 몸이 아프거나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가 각각 1, 2위입니다. 그런데 이 결과는 전 연령대를 조사한 것이라, 청년층에만 한정하면 원하는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쉰 경우가 많다고 분석할 수 있어요.
‘알바’ 취업은 늘고 있어요
주36시간 미만 일하는 아르바이트 취업은 늘고 있어요. (🗝️) ‘알바’로 일하는 근로자 수는 2015년 16%에서 2022년 30.2%로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당 근로시간은 평균 38.7시간으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에 미치지 못합니다. 15시간 미만 초단기 일자리도 늘어나면서 고용의 질이 악화되고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