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히 가라앉은 부동산시장이에요
현재 부동산시장이 침체돼,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며 환금성이 좋은 서울 아파트마저도 거래량이 지난여름에 비해 삼 분의 일 수준으로 떨어져 있어요. 반면 가격 변동은 거의 없는 수준인데, 집을 사려는 쪽은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을 기대하며 지켜보고 있고 집을 팔려는 쪽은 이 고비만 넘으면 집값이 다시 오를 거라고 기대하며 버티는 중이에요. 시장에서는 이런 관망세가 최소 6개월은 갈 것이라고 내다봐요. 대출 규제가 강하고 금리가 높은 상황이기는 하지만, 정말로 집을 사려고 한다면 나와 있는 매물에서는 매수자 우위 시장이에요. 전셋값은 오를 전망이에요.
인기 매물 나왔지만 경매도 얼어붙었죠
경매시장을 살펴보면 여기도 매물이 소화되지 않고 쌓이는 중이에요. 아파트 경매는 지난해 대비 35% 늘었는데, 낙찰가율은 서울이 84.9%, 전국은 77.4%에 그쳤어요. 지난 2021년과 2022년 부동산 폭등기에 ‘영끌’로 구매했던 주택이 본격적으로 경매에 넘어왔다는 분석도 보여요. 지난 2024년 임의경매를 신청한 부동산은 13만9869건으로, 부동산 호황기 마지막 무렵이었던 2022년과 비교하면 두 배나 돼요. ‘임의경매’는 빚을 진 채무자가 원리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할 때, 은행 등 채권자가 재판을 거치지 않고 바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하는 절차예요. 매물로 나온 부동산 중에는 서울 강남 대치동의 은마아파트 등 인기 재건축 아파트도 있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