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어피티
the 독자: K뷰티가 잘나간다고 해서 투자를 해보려고 했더니, 친구가 “the 독자 네가 알 정도면 끝물일지 모른다, 화장품 용기 제조 같은 후방산업 동향까지 분석해 봐야 한다.” 이러는 거예요. 😡
어피티: 친구분이 너무하다고 해야 할지, 예리하다고 해야 할지… 😅 요즘(2024년 3분기 기준) 화장품 용기 제조 회사들이 최대 실적을 내고 있는 건 맞아요.
the 독자: 쳇, 그런데 후방산업이 뭔가요? 전후좌우의 ‘후’던데 그럼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산업이 다 있나요?
어피티: 전방하고 후방만 있어요. 😉
흩어진 자원을 모으고, 기술을 적용해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 판매까지 이어지는 단계를 통틀어 ‘글로벌 공급망’이라고 해요. 산업별 공급망을 공부하면, 한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판매까지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죠.
글로벌 공급망은 원료 생산부터 가공, 조립, 유통, 판매까지 여러 단계로 구성되는데, 여기에 포함되는 모든 산업을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볼 수 있어요. 그게 바로 전방 산업(Downstream)과 후방 산업(Upstream)이에요.
소비자와의 거리가 기준이에요
전방과 후방은 ‘최종 소비자에게 누가 더 가까운가’를 기준으로 정해져요.
후방산업 (Upstream Industry) – 원자재와 중간재 제공
후방산업은 공급망 초기 단계에 위치하며 원자재 및 기본적인 성분과 부품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요. 이를테면 원유를 시추하고 철광석을 채굴하며 때로는 중간재인 철강을 제련하는 것까지 후방산업이 됩니다.
전방산업 (Downstream Industry) – 최종 제품 제조 및 판매
전방산업은 원자재나 중간 제품을 사용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될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역할을 담당해요. 공급망의 끝단에 위치하며, 제품 조립, 마케팅, 최종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하는 것까지 전방산업으로 분류돼요.
화장품산업을 예로 들면 화장품 (위탁) 제조기업이 화장품의 원료를 채취하거나 구매해서 화장품으로 가공하고, 용기를 제조해 용기에 화장품을 주입, 포장하는 것까지 후방산업이에요. (위탁) 생산한 제품을 브랜드에 납품하거나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 그리고 멋진 광고를 제작하는 것까지 모두 전방산업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