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프로필 👋
- 닉네임: 미소콩지
- 나이: 만 30세
- 하는 일: 금융회사 / 경영관리 / 4년 차 / 주임
- 첫 직장 기준 근속연수: 4년
- 세전연봉: 4,200만 원
- 월평균 실수령액: 약 220만 원
- 현재 자산
- 현금성 자산: 비상금 10만 원(정기예금 추가 입금으로 인해 없음) / 예·적금 3,460만 원
- 투자 자산: 없음
- 부채: 없음
- 주거 형태: 본가 거주 (비수도권)
나의 돈 관리 루틴
돈 관리 방법 🗂
- 한 달 급여를 200만 원이라고 치면, 이 중 60만 원을 적금으로 자동이체하고, 생활비를 50만 원~70만 원 정도로 잡아 생활비 계좌에 이체해 사용하는 중이에요.
- 반려동물인 완두콩을 위해 저축을 하고 있습니다. 생활비로는 월 2만 원 지출하고, 혹시 모를 지출(병원비 등)을 대비해 월 3만 원씩 적금에 넣고 있어요.
-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에 저축하듯이 돈을 넣고 있습니다. 주택청약저축은 최소 금액인 2만 원씩 납입하고 있어요.
- 카드는 주로 체크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한 달치 생활비를 다 쓰고 나면 다른 계좌에 현금이 남아있어도 비상금 계좌에 연결된 신용카드를 사용합니다.
- 핸드폰 요금이 7만 원 정도로 많이 나가는 편인데, 약정기간이 드디어 끝나서 해방될 수 있게 됐어요.
- 비상금 통장에서는 할부금, 여행자금, 경조사비 등이 나갑니다. 생활비로 사용하지는 않아요. 현금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사용할 때마다 지출처를 메모해둡니다.
월평균 고정비 🧷
- 주거비: 없음 (본가 거주)
- 교통비: 유류비 약 10~15만원
- 통신비: 약 7만 원 미만
- 대출 상환: 없음
- 유료 구독 서비스
- 멜론 8,000원
- 자기계발
- 피아노+미술 약 18만 원
- 요가 8만 원
- 헬스+필라테스 7만 원
- 기부: 어린이 보육재단 3,000원
- 보험금: 생명보험 10만 원
일주일 총지출 🧾
- 식비 : 45,600원
- 생활용품: 96,100원
- 문화생활: 104,200원
- 기타: 8,000원
- 총 253,900원
다른 사람들은 돈을 어떻게 쓸까?
재무현황 & 머니로그 전문 보러가기 👉
돈 관련 고민과 🔓
어피티의 솔루션 🔑
Q. 독립 후 지출, 감당할 수 있을까요?
저의 최종 목표는 독립입니다. 지금도 독립을 하고 싶어서 여기저기 원룸을 알아보고 있어요. 월세로 가든 전세로 가든 관리비를 포함해 돈 들어갈 일은 많아질 텐데, 급여로 충분히 버틸 수 있을지 고민이에요.
A. 독립 후 부담을 낮추려면
지금부터 지출을 줄여야 합니다.
미소콩지 님은 금융상품을 잘 이해하고 월별 돈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을 잘 만들어둔 상태입니다. 또 취업 이후 매달 저축을 해온 덕에 거의 연봉에 가까운 금액의 현금자산을 마련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죠.
하지만 독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합니다. 전세자금 대출을 많이 받으면 당장이라도 독립할 수 있는 상태지만, 독립 후 매달 나가는 주거비(대출이자 등) 부담을 줄이려면 최대한 많은 현금을 마련해두는 게 필요해요. 실제로 독립을 하지 않더라도 미래에 자산을 불려갈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가진 시드머니가 된답니다.
독립 전인 지금은 저축하기 딱 좋은 타이밍입니다. 다시 없을 저축 황금기를 최대한 활용해 독립과 자산을 마련해주세요. 어떤 재테크 전문가들은 독립하기 전인 비혼 또는 미혼 청년들에게 월급의 80%를 저축해야 한다고 단호하게 말하기도 합니다.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월급의 절반 이상은 저축하시는 걸 권해드려요.
저축액을 늘리려면 지출을 줄여야겠죠. 월별 변동비 지출과 연 비정기 지출에서 줄일 것들이 많이 보입니다. 두 가지 팁을 알려 드릴게요.
첫 번째,
지출 목적별로
예산 따로 짜기
택시비를 줄이고 싶더라도 통장에서 택시비와 대중교통비를 같은 ‘교통비’로 묶어버리면 지출 줄이기가 쉽지 않아요. 식비도 마찬가지예요. 술 먹고 노는 데 드는 돈과 필수적으로 나가는 돈을 같은 ‘식비’로 묶으면 어떤 지출을 줄여야 하는 건지 파악하기가 힘들죠.
이럴 땐 지출항목을 목적별로 세세하게 분류하고, ‘내가 줄이고 싶은 지출항목만 결제하는 통장’을 따로 만들어보세요. 목적별로 세세하게 분류하라는 조언은 이지영 작가님의 <우리집 재테크>라는 책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요. 핵심내용은 이렇습니다.
보통 시중에 나와 있는 가계부들은 대부분 식비, 의료비, 교통비 등 이런 식으로 ‘돈을 어디에 쓰는지’에 따라 지출 계정을 구분하곤 하죠. 직관적이지만, 지출을 돌아보려고 하면 때 의미를 뽑아내기가 어렵습니다.
목적별로 지출을 분류하면 지출 항목별 결제금액이 의미를 갖게 됩니다. 식비, 생활용품비, 각종 수리비를 ‘먹고사는 생활’로, 문화생활과 여행, 취미생활을 묶어서 ‘풍요로운 생활’로 분류하는 거예요. 이렇게 하면 풍요로운 생활에 속하는 놀고 마시는 데 쓰는 비용이 애매하게 식비에 들어가서 헷갈리게 될 일이 줄어든답니다.
주로 과소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풍요로운 생활’에서 목표 지출금액을 잡아보세요. 그다음 해당 지출 용도로만 사용하는 통장을 개설합니다. 통장에는 내가 생각하는 한 달 예산만큼만 돈을 넣은 뒤 체크카드로 결제하는 습관을 만드는 거예요. 예산만큼 다 지출한 뒤로는 안 쓰는 식으로 규칙을 만들면, 지출을 줄이는 데 심리적인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
단기 절약 챌린지로
소비 습관 고치기
일주일 정도 기간을 잡고 지출을 확 줄여보세요. 단기간 집중 다이어트 또는 디톡스와 비슷합니다. 몸 관리를 시작할 때 식이를 확 조이는 시기가 있는 것처럼, 돈 관리를 할 때도 지출을 확 줄이는 기간을 가지면 상당히 효과적이거든요. 막연히 ‘돈을 아껴야지’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소비 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습니다.
미소콩지 님이 일주일 동안 쓰는 평균 금액의 절반 수준으로 금액을 잡고 현금으로 인출해보세요. 체크카드에 그 금액만 남겨놓고 그 체크카드만 사용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만 원의 행복’에 도전하듯이 이걸로 일주일을 살아보는 거예요. 고통스러운 과정이지만 이 과정을 밟고 나면 한동안 지출 규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돈을 쓰는 문제는 습관과 깊은 관련이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