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이 살린 이 업계

글, JYP


편의점 업계 다시 반등했어요

편의점 ‘투톱’인 GS리테일(GS25)과 BGF리테일(CU)이 3분기 좋은 실적을 냈어요. GS리테일의 영업이익은 111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6% 증가했고, BGF리테일은 977억 원으로 7.1% 늘었어요. 두 회사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죠. 실적 개선 전략에서는 두 기업 간에 차이가 있었어요. 

  • GS25: ‘스크랩 앤드 빌드’ 전략으로 비효율 점포를 정리하고 우량 입지로 재배치하며 수익성을 높였어요. 
  • CU: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맞춰 대규모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자체 브랜드(PB) 상품과 인기 IP 제휴 상품을 늘려 객단가를 높였어요.

소비쿠폰 수혜를 톡톡히 봤어요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편의점 업계는 힘든 시기를 보냈어요. 긴 장마와 소비 위축으로 역성장을 겪었거든요. 그러다 3분기 초입인 7월 말부터 지급된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분위기를 바꿨어요.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상황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편의점이 소비쿠폰의 가장 큰 수혜를 받게 된 거예요. 전문가들은 소비쿠폰 효과가 일시적일 수 있다고 보는데요, 소비심리가 회복세인 데다 점포 구조조정 효과가 이어지면서 실적 개선세는 지속될 거란 전망이에요.

JYP 한마디

🥊 GS25와 CU의 팽팽한 라이벌전이 계속되고 있어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GS25가 매출 1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켜왔지만, 지금은 그 차이도 1000억 원 정도로 좁혀졌어요. 영업이익 면에서는 CU가 GS25를 넘어설 때도 있었고요. 이제는 새로운 판에서 경쟁해야 하는 때예요. 국내 편의점 시장이 포화 상태로 정체기를 맞은 가운데, GS25와 CU는 해외 진출 확대, 경영 효율화, 상품 라인업 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찾고 있어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