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책, 연말에 또 나온다?

글, JYP


추가 대책을 논의하는 중이라고 해요

정부가 연말 전에 새로운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리란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추석 이전 부동산 수요를 누르기 위한 6·27 대책과 부동산 공급 확대 목적의 9·7 대책을 차례로 내놨지만, 서울 한강벨트와 과천, 성남 등 서울 인접 도시 중심으로 여전히 집값이 오르고 있기 때문이에요. 지난 9월 말에는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기자 간담회를 통해 시장 상황을 매우 유심히,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으며, (추가 대책이) 필요하면 하겠다고 발언하기도 했어요. 


지난 정책은 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였어요

앞서 정부는 두 번의 부동산 대책을 통해 가격 상승세를 누르겠다는 메시지를 보여왔어요.

  • 6·27 대책: 서울 등 수도권과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실거주 목적이 아닌 다주택자나 1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 시에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는 등 대출 규제 중심으로 수요 억제책을 내놨었어요.
    *강남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
  • 9·7 대책: LH(한국토지주택공사) 주도로 수도권에 5년간 총 135만 가구 규모의 신규 착공을 추진하고, 주택 건설사업의 인허가 속도를 높이는 등 공급 확대책을 내놨었어요.

이번에는 ‘핀셋 규제’일 가능성이 높아요

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의 두 방향에서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지금 아니면 이 가격에 못 산다’는 패닉바잉 심리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어요. 각종 규제에 묶여 있는 강남의 대체재로서 수요가 많은 서울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등 한강벨트와 경기 분당, 과천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률이 특히 높았고요. 만약 새로운 부동산 대책이 나온다면, 이 지역들을 추가 규제지역으로 묶을 가능성이 크다고 해요.

JYP 한마디

🏡 정부가 한강벨트 7개 지역을 추가 규제지역으로 묶으면 평균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들(강동구, 동작구, 양천구, 영등포구)에서 집을 살 때 받는 영향이 더 클 수도 있다고 해요. 비교적 저렴한 지역은 LTV가 40%로 강화되면 최대 6억 원까지 받을 수 있었던 대출이 5억 원 정도로 줄어요. 집을 사기 위해 내 현금이 더 필요하다는 뜻이에요. 

경제 공부, 선택 아닌 필수

막막한 경제 공부, 머니레터로 시작하세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잘 살기 위한 잘 쓰는 법

매주 수,금 잘쓸레터에서 만나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